클레이튼 생태계를 알아보자!
카카오의 블록체인 관련 자회사 그라운드X가 개발한 클레이튼은 비트코인처럼 하나의 코인이 아닌
이더리움같이 분산어플리케이션 디앱(DAPP)을 만들기 위한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입니다.
사용자의 인터페이스(UI)와 경험(UX)의 최적화를 통해서 많은 대중들이 쉽고 간편하게 이용하여
최대한 많은 사람들을 끌어 들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대중화(상용화)에 필요한 제도적 기반을 먼저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트코인/주식] 혁신기술의 상용화! 좋은 투자처 고르는 법?
현재 클레이튼은 합의가 필요한 작업은 컨센서스 노드(기업 협의체)에서 처리하고, 합의가 필요하지 않은 작은 작업은 퍼블릭 노드에서 처리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 아시아 지역에서 IT, 콘텐츠, 게임, 금융 등 각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 위주로 거버넌스 카운슬을 꾸렸습니다.
‘LG전자,’ GS홈쇼핑,’ ‘셀트리온’, '신한은행', '카카오 계열사' 등의 국내 주요 기업과 함께
전자 결제 기업 ‘월드페이’ 및 세계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 등이 참여하고 있고
오지스/해시드(블록체인 투자 전문회사)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많은 기업들이 있습니다.
참여 기업들은 플랫폼 운영을 넘어서 클레이튼을 활용한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기존 사업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키고 있습니다.
공식기축토큰은 클레이(KLAY)로 코인원, 바이낸스에서 거래 중입니다.
클레이의 발행량은 인플레이션을 반영하며 처음 100억 개를 시작으로 매년 2.91%씩 증가합니다.
현재 유통량은 약 26억 개입니다.
클레이튼 에코시스템
1. 지갑 - 카카오 클립
클레이튼 기반 암호화폐를 저장하고 송금/저장할 수 있는 전자지갑입니다.
이는 카카오를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이미 이용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즉, 우리나라 사람들은 카카오 클립을 이미 이용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사용하고 있지 않더라도 언제든지 접근이 편리합니다.
2. 스테이킹
현재 클레이스왑(KLAY SWAP)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은행처럼 코인을 다른 코인으로 바꿔주는 역할, 코인 예치/스테이킹을 통해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Decentrailzed exchange (탈중앙화 거래소)
클레이스왑(KLAY SWAP)의 역할입니다.
4. Interchain Bridge – 오르빗체인의 오르빗브릿지
클레이튼 거버넌스에 참여 중인 오지스에서 개발한 프로젝트입니다.
클레이튼 기반 코인과 이더리움 기반의 코인을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해주고 있습니다.
다른 블록체인 기반 코인과의 연결을 도와주는 시스템입니다.
즉, 더 많은 이용자를 유입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5. 스테이블 코인 - 향후 우리나라의 대표 암호화폐?
6. 디지털 애셋(디지털 자산)
모든 자산을 디지털화하는 것입니다
Angle league – 주식과 같은 문서를 토큰화 할 수 있다. - 소유권 증명이 안전해진다.
최근 카카오 엔터테인먼트에서 자사 주식 응모권을 NFT로 나눠주는 이벤트를 진행했습니다.
이 NFT를 카카오 클립 지갑에 저장하고 주식 지분을 갖는 것입니다.
7. Arts
Tessa(예술작품), Makestar(kpop)
아트테크 플랫폼으로 예술작품이나 KPOP작품을 여러사람과 나눠서 살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즉, 작품에 대한 % 비율 지분 증명을 하는 것입니다.
kpop과 관련된 Makestar는 해외이용자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고, 매출도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8. 게임
펄어비스의 도깨비라는 메타버스 게임이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정부 규제로 블록체인 게임 개발에 제한이 있습니다.
9.Oracle
체인링크의 오라클 - 블록체인 밖에 있는 데이터를 블록체인 안으로 전달해주는 역할
이를 통해 클레이튼 기반 BAPP의 안전성, 기존 인프라와 호환성, 기존 프로젝트 활성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10.TOOLS
Klaytnscope와 KrafterSpace가 있습니다.
Klaytnscope는 네트워크 블록 탐색기입니다.
만약 거버넌스카운슬이 몰래 클레이를 판다면 스코프에서 확인 가능
KraferSpace는 클레이튼 전용 NFT발행 플랫폼입니다.
11. 클레이튼에코시스템 파트너
삼성블록체인, 신한은행, 우리은행, 업비트, BitKeep, D'CENT, BitForex, Huobi Wallet, Dapp.com,
Midas Protocol, Hexlant, OpenSea, NOVA Wallet, State of the DApps, OKEx, Torus, BCW Group,
ZenGo, Hanbitco Cryptocurrency, Exchange, DXM
12. 이니셜 서비스 파트너
클레이튼 대중화를 위해 클레이튼 기반으로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운영하는 회사들
Wemade Tree, Cosmochain, Hint Chain, Humanscape, Sportsplex, Airbloc Protocol,
Piction Network, BORA
13. 클레이 비앱 파트너
서비스 운영에 클레이를 보상 및 결제수단으로 활용하는 서비스들이다.
Klaytn Knights, 프린세스 메이커 for Kakao, Marvel Clans, Crypto Sword & Magic, Axie Infinity
Infinity Star, 귀혼, Fivestars, Hero of Cryptoworld, Battle Racers, PlayDapp, Crypto Dragons
Terra Virtua
현재 설명드린 에코시스템 내부에서 클레이를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확장되어야 많은 이용자가 유입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직은 초기단계로 생각됩니다만 거버넌스에 참여한 대기업들을 보면 우리나라에서는
클레이가 죽진 않을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또한 현재 시중은행에서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사업에 모두
클레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눈여겨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암호화폐] 국내 시중은행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확인하러 가기!!
추가적으로 카카오 생태계 코인이라고 불리는 3형제입니다. (KLAY, KSP, ORC) 관심 있게 지켜볼 예정입니다.
※본 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참고용으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ELF Study - 투자 >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폐] DID코인 신원인증 산업에 큰 영향을 줄 것이다?! (0) | 2021.11.12 |
---|---|
[암호화폐] WEB 3.0 코인은 우리의 정보를 지켜준다?! (0) | 2021.11.10 |
[달러 vs 비트코인] 왜 비트코인을 사려고 할까? (0) | 2021.09.17 |
가상화폐(암호화폐) 종류와 특징 - 간단정리 (0) | 2021.09.12 |